주식을 하다보면 언제까지 매수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나요 라는 문의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. 이때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권리발생일과 권리락일입니다. 이 두 날짜는 비슷해 보이지만, 다른 개념이므로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권리발생일과 권리락일의 차이점, 그리고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.
1. 권리발생일과 권리락일의 차이점
✅ 권리락일(Ex-Dividend Date)이란?
권리락일은 말 그대로
권리가 사라지는 날을
의미합니다.
즉,
이 날부터 매수한 주식은 배당이나 증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
💡 권리락일의 핵심
- 권리락일 전날(권리부일) 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 또는 신주 배정을 받을 수 있음.
- 권리락일 이후 매수한 주식은 해당 권리를 받을 수 없음.
- 권리락일에는 배당만큼 주가가 조정될 가능성이 큼.
📌 예시 (연말 배당의 경우)
날짜 | 설명 |
---|---|
12월 26일 | 권리부일(배당을 받을 수 있는 마지막 날) |
12월 27일 | 권리락일(이날 매수하면 배당을 못 받음) |
12월 28일 | 기준일(Record Date, 주주 확정일) |
3~4월 | 배당 지급일 (Payment Date) |
📢 즉, 배당을 받으려면 권리락일 하루 전(권리부일)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합니다.
✅ 권리발생일이란?
권리발생일은 특정 권리가
실제로 발생하는 날을
의미합니다.
즉, 기업이
신주를 배정하거나, 주식을 병합하거나, 주주들에게 지급할 배당을 확정하는
날입니다.
💡 권리발생일의 핵심
- 배당의 경우 배당 기준일(Record Date) 과 같음.
- 유상증자, 무상증자, 주식 교환 등에서는 신주가 실제로 주주에게 지급되는 날을 의미할 수 있음.
📌 예시 (유상증자의 경우)
날짜 | 설명 |
---|---|
6월 10일 | 유상청약 시작일 |
6월 15일 | 청약 마감일 |
6월 17일 | 권리락일(이날 이후 매수자는 신주를 못 받음) |
7월 5일 | 권리발생일(신주 배정 및 입고일) |
📢 즉, 권리발생일은 투자자가 실제로 권리를 행사하는 날이며, 권리락일과는 개념이 다릅니다.
2. 권리락일과 권리발생일의 차이 정리
구분 | 권리락일 (Ex-Dividend Date) | 권리발생일 |
---|---|---|
의미 | 권리가 사라지는 날 | 특정 권리가 실제로 발생하는 날 |
매수 시 권리 획득 여부 | 이날 매수하면 권리 없음 | 해당 권리를 실제로 받는 날 |
적용 사례 | 배당, 유상증자, 무상증자 등 | 신주 배정, 배당 지급일 등 |
투자자 주의사항 | 권리락일 전에 매수해야 혜택 가능 | 권리락일과 혼동하지 않기 |
📌 즉, 권리락일에 주식을 사면 배당이나 신주를 받을 수 없으며, 권리발생일은 실제로 권리가 행사되는 날짜입니다.
3. 자주 하는 질문 (Q&A)
Q1. 권리발생일이 권리락일과 같은 날인가요?
A. 아니요. 권리발생일은 특정 권리가 실제로 발생하는 날이며, 권리락일은 권리가 사라지는 날입니다. 즉, 권리락일에는 주식을 사도 권리를 받을 수 없고, 권리발생일은 배당이나 신주 지급 등이 이루어지는 날짜입니다.
Q2. 배당을 받으려면 언제까지 주식을 사야 하나요?
A. 배당을 받으려면 "권리락일 하루 전(권리부일)"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. 권리락일에 매수하면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.
Q3. 권리락일 이후 주가는 어떻게 변하나요?
A. 일반적으로 배당금만큼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 예를 들어, 배당금이 주당 1,000원이면 권리락일에는 1,000원 하락한 가격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.
Q4. 유상증자/무상증자의 경우도 권리락일이 적용되나요?
A. 네,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도 권리락일 개념이 적용됩니다. 권리락일 이전에 주식을 보유해야 신주 배정을 받을 수 있으며, 권리락일 이후 매수한 주식은 신주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
Q5. 해외 주식에도 권리락일이 적용되나요?
A. 네, 해외 주식도 동일한 개념이 적용됩니다. 다만, 국가마다 권리락일과 배당 지급일 사이의 기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, 해당 국가의 일정(Ex-Date, Record Date, Payment Date)을 확인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미국 주식의 경우 권리락일과 배당 지급일 사이에 몇 주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4. 정리
📢
권리발생일과 권리락일은 다릅니다!
👉
배당을 받으려면 "권리락일 하루 전(권리부일)"까지 매수해야 합니다.
👉
권리락일에는 주식을 매수해도 배당이나 신주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
👉
권리발생일은 배당 지급일이나 신주 입고일 등 권리가 실제로 행사되는
날입니다.
0 댓글